아동심리학

[자기조절]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지 않게 만드는 부모의 습관

velyjju 2025. 3. 30. 08:20

[자기조절]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지 않게 만드는 부모의 습관
[자기조절]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지 않게 만드는 부모의 습관

1. 공부에 흥미를 잃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처음엔 잘하더니 요즘은 책상 앞에도 안 앉아요.” “흥미 있어 하길래 학원도 보내봤는데 금방 싫증을 내요.” “공부에 대한 태도가 예전보다 많이 시들해진 것 같아요.”

많은 부모들이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는 아이가 흥미를 보이길 기대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관심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이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가 **이럴 때 어떤 태도를 보이고, 어떻게 학습 분위기를 이끌어가느냐**입니다.

2. 공부에 대한 '의욕'은 부모의 반응에서 시작됩니다

📌 아이의 내면에서 자라는 학습 의욕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의 특징은 단순히 **지능**이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다’, ‘이건 재미있다’라는 **내적 동기**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동기를 자극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부모의 **반응 습관**입니다.

✅ 부모의 반응에 따라 달라지는 아이의 공부 태도

  • 실수를 했을 때 “왜 틀렸어?”가 아닌 “어떤 생각으로 풀었어?”
  • 결과보다 “어떻게 해냈는지”를 먼저 묻기
  • 조금만 진도가 늦어도 불안해하기보다 아이의 흐름을 믿어주기

3. 공부 습관보다 먼저 ‘공부 감정’부터 챙겨주세요

💭 아이가 자주 말하는 감정 신호

  • “나 공부 못 해.”
  • “공부 재미없어.”
  • “엄마는 맨날 공부하래.”

이런 말들은 아이의 **학습 감정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신호예요. 실제로 공부 자체보다, **부모의 기대와 압박** 때문에 공부가 점점 재미없는 일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렇게 반응해보세요

  • “오늘은 어떤 문제 풀었는지가 아니라, 네가 어떤 생각을 했는지가 더 궁금해.”
  • “힘들었다면 잠깐 쉬고, 다시 시작해도 돼.”
  • “결과보다 과정이 훨씬 더 멋지다는 걸 엄마는 잘 알아.”

4. 공부는 ‘생활의 일부’라는 인식을 심어주세요

📅 루틴 안에 공부를 자연스럽게 녹이기

“이제 공부할 시간이야!”라는 강압적 말보다 “아침 먹고 책 10분 읽고 시작해볼까?”처럼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공부를 유도하면 부담이 줄어듭니다.

추천 루틴 구성 예시

  • 아침 루틴: 기상 → 독서 10분 → 준비
  • 저녁 루틴: 놀이 → 간식 → 숙제 → 책 읽기

습관은 반복과 연결 속에서 만들어지므로 공부를 **삶의 한 흐름**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5. 작은 성공을 자주 경험하게 해주세요

🏆 “이만큼이나 해냈구나!”라는 감정

아이가 ‘해냈다’는 경험을 반복할수록 공부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함께 자랍니다.

5문제 중 2개를 맞아도 “틀린 건 다음에 배우면 돼, 지금도 이미 절반은 성공이야!” 이런 말이 아이에겐 큰 힘이 됩니다.

소소한 성취 루틴 예시

  • “오늘은 10분 집중해서 해보자.”
  • “이 페이지 끝나면 좋아하는 간식 먹기!”
  • “문제를 풀고 나면, 어떤 게 어려웠는지 말해줘.”

6. 현실 예시: 문제집을 하다가 갑자기 포기하는 아이

❌ 흔한 반응

“왜 갑자기 안 해?” “끝까지 해봐야지, 자꾸 도망만 치면 어떻게 해.”

→ 아이는 압박을 더 크게 느끼고 흥미를 완전히 잃게 됩니다.

✅ 바람직한 반응

“지금 어려웠구나. 어디서부터 헷갈렸는지 엄마랑 같이 살펴볼까?” “다음엔 네가 좋아하는 문제부터 시작해보자.”

→ 감정을 이해받고 다시 시도할 용기를 가질 수 있어요.

7. 마무리: 아이의 흥미는 ‘성장 경험’에서 나옵니다

아이들이 공부를 좋아하게 되는 과정은 성공 경험, 감정적 안정, 부모의 지지로 구성됩니다.

부모가 결과보다 **아이의 마음**을 먼저 들여다보면, 공부는 더 이상 ‘하기 싫은 일’이 아니라 ‘도전하고 성취하는 즐거운 활동’으로 바뀝니다.

💬 오늘 이렇게 말해보세요

“공부가 재미없을 수도 있어. 근데 넌 생각보다 훨씬 잘하고 있어.”

함께 읽으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