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이가 싫어하는 행동의 특징
아이가 싫어하는 부모의 행동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일관성이 부족하고, 부모의 감정을 우선시하는 행동입니다. 이러한 행동이 반복되면 아이는 정서적 고립감과 신뢰 상실을 겪으며 점차 부모와의 대화를 꺼리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아이의 자존감과 사회성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부모의 행동 10가지
1. 비교하기
아이를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면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지고 스트레스가 증가합니다. 아이는 자신을 무가치하다고 느끼게 되어 자기 존중감에 손상을 입습니다.
대안: "너는 그림을 참 잘 그리는구나", "이번 시험에서 지난번보다 점수가 올랐네! 잘했어"와 같이 아이의 구체적인 행동이나 발전을 칭찬해 주세요.
2. 무시하거나 말 끊기
부모가 아이의 말을 자주 무시하거나 끊으면 아이는 소외감과 불안감을 느끼고,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대안: 아이가 말할 때는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며, 중간에 말을 끊지 않고 끝까지 들어주세요. "네 생각을 말해줘서 고마워"라고 표현해주면 좋습니다.
3. 소리 지르기
부모가 화를 내며 소리를 지르면 아이는 두려움과 긴장감을 느끼고 정서적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반복적인 소리 지름은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대안: 화가 날 때는 잠시 자리를 피하거나 심호흡을 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아이와 대화하세요. "엄마가 지금 좀 화가 나는데, 잠시 후에 이야기해도 될까?"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4. 감정 인정 안 해주기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대안: "지금 많이 속상하구나. 그 마음 충분히 이해해"라고 공감해주고,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5. 사생활 침해
부모가 과도하게 아이의 사생활을 간섭하면 아이는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느끼고, 독립성과 자기 주도성을 잃게 됩니다.
대안: 아이가 방문을 닫고 있을 때는 노크하고 들어가고, 일기장이나 개인 물건을 함부로 보지 않으며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6. 억지로 시키기
부모가 아이에게 원치 않는 활동을 강요하면 아이는 반항심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자율성 발달에 방해를 받습니다.
대안: "네가 이 활동을 왜 하고 싶지 않은지 이유를 말해줄래?"라고 물어보며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선택권을 주어 함께 대안을 찾아보세요.
7. 훈계만 하고 대화는 안 하기
훈계만 반복하고 아이의 의견을 듣지 않으면, 아이는 부모에게서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끼며 정서적으로 멀어지게 됩니다.
대안: "이 문제에 대해서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라고 질문하며, 아이의 의견을 듣고 대화를 통해 함께 해결책을 찾아나가세요.
8. 감정적으로 벌 주기
부모가 감정적으로 벌을 주면 아이는 공포와 불안감을 느끼고 벌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한 채 혼란스러워합니다.
대안: 벌을 주기 전에 "이 행동이 왜 잘못됐는지 이야기해보자"라고 말하고, 벌을 주더라도 명확한 이유와 함께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세요.
9. 장난감·물건으로 협박하기
아이의 물건을 이용한 협박은 아이의 불안감을 높이고 신뢰를 떨어뜨립니다.
대안: "이 행동을 계속하면 어떻게 될까?"라고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때 보상을 해주는 방식으로 전환해보세요.
10. 친구 앞에서 창피 주기
공개적인 자리에서 아이를 혼내면 아이는 수치심과 분노를 느끼고 부모와의 신뢰가 깨지게 됩니다.
대안: 문제가 생겼을 때는 반드시 둘만 있는 공간에서 이야기하고,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보자"고 제안하세요.
아이가 부모의 행동에 불만을 표현하는 방법
- 말수가 줄거나 부모와의 대화를 피하기 시작합니다.
- 짜증이나 화를 자주 내거나 부모의 말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 반항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사회적 활동이 줄어듭니다.
부모가 개선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법
- 아이와 정기적으로 소통의 시간을 갖고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기회를 만드세요.
- 자신의 감정과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적인 방법을 찾고 훈련하세요.
-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긍정적인 양육 방법을 익히세요.
- 가족 내에서 서로 존중하는 규칙을 정하고 이를 실천하도록 노력하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훈육] 부모가 아이의 공부를 도울 때 하면 안 되는 3가지 행동
목차1. 도와준다는 마음이 오히려 아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어요2. 아이 대신 문제를 풀어주는 행동3. 비교하는 말로 동기를 유도하는 행동4. 감정적 반응으로 아이를 다그치는 행동5. 현실 육아
velyjju.net
[훈육] 부모의 훈육 스타일에 따라 아이가 보이는 행동 차이
목차1. 부모의 훈육 스타일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2. 민감형 부모: 감정을 공감하고 기다려주는 스타일3. 엄격형 부모: 규칙과 지시를 강조하는 스타일4. 자유형 부모: 자율성과 감정 표현을 존
velyjju.net
'아동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육] 아이가 부모를 무시할 때 대처법 (0) | 2025.03.19 |
---|---|
[훈육] 감정적으로 훈육했을 때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0) | 2025.03.19 |
[훈육] 부모가 자주 하는 훈육 실수 10가지 (0) | 2025.03.19 |
[자존감]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대화법 (0) | 2025.03.08 |
[자존감] 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 아이 자존감을 낮추는 말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