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아이가 감정을 숨기는 이유
- 아이가 감정을 숨길 때 부모가 하면 안 되는 반응
-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 감정 표현을 위한 감정 단어 분류표
- 내성적인 아이를 위한 감정 그림책 추천
- 감정을 표현하게 돕는 일상 속 실천 활동
-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감정 대화 환경 조성 팁
- 감정을 숨기는 아이를 돕는 부모의 역할
-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핵심 메시지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아이가 감정을 숨기는 이유
-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감정 표현 환경: 부정적인 반응을 경험한 아이는 감정을 드러내기를 꺼리게 됩니다.
-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름: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몰라 감정을 묻어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타인의 반응에 대한 과도한 걱정: 감정 표현 후의 반응을 걱정하여 아예 표현을 피합니다.
- 감정 억제가 습관화됨: 오랜 시간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면서 숨기는 것이 익숙해집니다.
2. 아이가 감정을 숨길 때 부모가 하면 안 되는 반응
- 감정을 강요하는 말: "말해 봐! 엄마가 도와줄게!"
- 감정의 평가: "그 정도로 속상해할 필요 없어."
- 감정을 대신 해결하려 하기: "괜찮아, 엄마가 해결해 줄게."
3.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 감정 표현이 가능한 환경 조성: 비난 없이 공감하는 분위기 제공
- 감정 단어 확장: "속상해? 서운해? 외로워?"와 같이 세분화
- 간접적 감정 표현 도구 활용: 그림책, 감정 카드, 이야기 속 인물로 대화
- 부모의 감정 표현 모델링: "오늘 엄마는 조금 지쳤어" 등의 표현
- 감정 표현을 긍정적으로 인정해 주기: "모든 감정은 소중해. 표현해도 괜찮아."
4. 감정 표현을 위한 감정 단어 분류표
기본 감정 | 세분화된 감정 단어 |
---|---|
기쁨 | 행복함, 들뜸, 반가움, 만족, 편안함 |
슬픔 | 서운함, 외로움, 아쉬움, 실망, 지침 |
화남 | 짜증, 분노, 억울함, 답답함, 흥분 |
불안 | 초조함, 긴장, 걱정, 무서움, 당황 |
5. 내성적인 아이를 위한 감정 그림책 추천
- 『내 마음을 알아줘』 –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이야기
- 『화가 나!』 – 분노를 감정적으로 풀어내는 법을 알려주는 그림책
- 『오늘은 무슨 기분이야?』 – 다양한 감정을 이모티콘과 함께 배우는 책
-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연습을 도와주는 책
- 『아주아주 화가 나!』 – 감정이 커질 때 어떻게 다룰 수 있을지 보여주는 이야기
6. 감정을 표현하게 돕는 일상 속 실천 활동
내성적인 아이들은 말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놀이와 일상 활동 속에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감정 인형 만들기 – 다양한 표정의 인형을 만들어 감정 놀이에 활용. 아이가 “오늘 기분은 이 인형이랑 비슷해요”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역할극 놀이 – “슬픈 곰돌이”, “화난 공룡” 같은 캐릭터를 만들어 아이가 그 캐릭터를 연기하며 감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 감정 스티커판 만들기 – 하루를 돌아보며 기분에 해당하는 감정 스티커를 선택해 붙이며 감정을 표현하게 합니다.
- 감정 풍선 불기 – 화가 났을 때 풍선을 불며 숨을 고르고, “이 풍선은 화난 내 마음이야”라고 말해보게 합니다.
- “감정 따라 걷기” 게임 – “화난 사람처럼 걸어볼까?”, “기쁜 사람처럼 걷자!”처럼 감정을 몸짓으로 표현해보는 신체활동입니다.
7.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감정 대화 환경 조성 팁
부모가 일상에서 아이와 감정 대화를 나누기 위한 실용적인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루 중 정해진 시간, 예: 잠자리 전 5분 – “오늘 기분 어땠어?”라고 자연스럽게 묻는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 감정 표현을 기다려 주기 – 바로 대답하지 않아도 기다려 주며, 아이가 감정을 스스로 인식할 시간을 줍니다.
- 부모의 감정도 솔직히 나누기 – “엄마도 오늘 약간 속상했어” 같은 말은 아이에게 감정 표현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모델이 됩니다.
- 비언어적 표현 존중하기 – 아이가 말 대신 그림, 표정, 몸짓으로 감정을 표현할 때에도 “이렇게 말해줘서 고마워”라고 인정해 주세요.
8. 감정을 숨기는 아이를 돕는 부모의 역할
내성적인 아이가 감정을 숨기는 것은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아이의 기질이며, 부모의 따뜻한 지지 속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중’일 뿐입니다.
부모님은 아이의 감정을 억지로 끌어내기보다, 안전하고 따뜻한 환경 속에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세요. 감정표, 감정 다이어리, 감정 그림책, 그리고 함께하는 대화와 놀이가 감정 표현의 연습장이 됩니다.
모든 감정은 옳고, 표현할 수 있을 때 치유됩니다. 아이가 말없이 속앓이하는 대신, 말이나 표정, 그림으로 자기 마음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세요.
9.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핵심 메시지
- 감정을 숨기는 것은 아이의 기질과 경험의 결과입니다.
- 감정 표현을 강요하지 말고, 기다리고 공감해 주세요.
- 그림, 글, 표정 등 다양한 방식의 표현을 열어 주세요.
- 부모의 감정 표현이 아이에게 가장 좋은 교과서입니다.
- 감정은 숨기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주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감정코칭]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위한 미술·음악·놀이 치료 활용법
목차1.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의 특징2. 미술·음악·놀이 치료의 효과3. 미술·음악·놀이 치료의 실제 활용법4.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위한 부모님의 역할5. 부모님께서 기억하시면 좋은 핵심
velyjju.net
[감정코칭] 아이의 감정을 잘 표현하게 만드는 ‘감정 단어 확장법’
1. 감정 조절 & 정서 발달 심화 - 3)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게 만드는 감정 단어 확장법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감정 어휘’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velyjju.net
[감정코칭]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법 (뇌과학 기반 감정 조절법)
1. 아이의 감정 조절, 뇌과학적으로 어떻게 작용할까?부모들은 종종 아이의 감정 폭발을 ‘버릇없다’거나 ‘성격 문제’로 여깁니다. 하지만 뇌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감정 조절은 뇌 발달과
velyjju.net
'아동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코칭] 아이의 감정을 잘 표현하게 만드는 ‘감정 단어 확장법’ (0) | 2025.03.22 |
---|---|
[감정코칭]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0) | 2025.03.22 |
[감정코칭]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법 (뇌과학 기반 감정 조절법) (0) | 2025.03.21 |
[친구관계] 친구 간 싸움을 부모가 봤을 때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0) | 2025.03.20 |
[친구관계] 형제자매 간 싸움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