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감정 단어 확장이 중요한 이유
- 2. 감정 단어 확장법: 연령별 적용 방법
- 3. 감정 단어 확장의 실전 적용 예시
- 4. 감정 단어 확장에 도움이 되는 도구
- 5. 감정 단어와 사회성의 관계
- 6.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핵심 메시지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감정 단어 확장이 중요한 이유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어휘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감정 단어는 단순한 언어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곧 정서 인식 능력, 감정 조절 능력, 문제 해결력, 대인 관계 능력의 기초가 됩니다.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들은 “좋아”, “싫어”, “몰라” 같은 단어만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감정을 말보다 울음이나 떼쓰는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갈등을 겪을 때 말로 해결하지 못하고 공격적인 방식이나 위축된 태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감정 단어가 풍부한 아이는 “화나” 대신 “친구가 약속을 안 지켜서 실망했어”, “기뻐” 대신 “오늘 엄마가 나랑 놀아줘서 정말 행복했어”처럼 세분화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자기 감정 조절과 대인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2. 감정 단어 확장법: 연령별 적용 방법
① 3~5세: 감정을 색과 표정으로 익히는 시기
이 시기에는 언어보다는 시각 자극에 반응하기 때문에 색깔, 표정, 동화책 등을 활용한 활동이 좋습니다.
- 감정 색칠하기: “오늘은 무슨 색 기분이었어?”와 같이 묻고 색으로 감정을 표현하게 유도
- 감정 얼굴 맞추기: 다양한 감정 표정 그림을 보고 “이건 어떤 기분일까?” 질문
- 감정 동화책 읽기: 감정이 뚜렷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동화를 읽고 “이 주인공은 지금 어떤 감정을 느낄까?” 물어보기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대신 말해주며 단어를 반복 노출하고, 다양한 감정 어휘를 자연스럽게 소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② 6~8세: 감정을 분류하고 비교하는 시기
- 감정 분류 활동: 기본 감정(기쁨, 슬픔 등)을 중심으로 연관 단어를 함께 정리
- 감정 저널 쓰기: 하루에 느낀 감정을 한 문장으로 쓰고 이유까지 함께 적어보기
- 감정 상황극: 가족 인형극을 하면서 상황에 따라 감정을 말로 표현해보기
“그냥 기분 좋아”가 아닌 “기대돼서 들뜬 기분이야”, “좀 지루했어”처럼 표현을 다양화하도록 질문을 유도합니다.
③ 9세 이상: 감정을 언어화하고 자기 조절을 시작하는 시기
- 감정 대화문 훈련: “나는 ___했어. 왜냐하면 ___ 때문이야.” 형식으로 말하기
- 감정 강도 수치화: “이 감정은 10점 만점 중 몇 점 정도야?”
- 유사어 탐색 게임: 예를 들어 “기쁨”과 관련된 단어 떠올리기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감정을 세밀하게 다루고, 문제 해결적 언어로 전환하는 기회를 자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감정 단어 확장의 실전 적용 예시
- 민준(5세): “싫어!”만 외치던 민준이는 감정 색칠놀이를 하며 “짜증나”, “속상해”라는 표현을 배움.
- 지아(7세): 감정 저널을 통해 “친구가 내 그림을 웃었다고 해서 부끄럽고 슬펐어”라고 복합 감정을 표현함.
- 윤호(9세): 감정 대화문과 감정 문제해결 훈련을 통해 “억울해” 대신 “내 입장을 설명할 기회를 못 얻어서 답답했어”라고 말할 수 있게 됨.
4. 감정 단어 확장에 도움이 되는 도구
기본 감정 | 확장 감정 단어 | 추천 그림책 |
---|---|---|
기쁨 | 신남, 뿌듯함, 행복, 기대, 만족, 즐거움 | 『기분이 좋아졌어』, 『행복한 사자』 |
슬픔 | 서운함, 외로움, 상실감, 낙담, 눈물 | 『괜찮아』, 『내 친구가 아파요』 |
화남 | 짜증, 억울함, 분노, 폭발감, 성가심 | 『화가 나!』, 『화내지 마 괴물아』 |
두려움 | 불안, 걱정, 무서움, 긴장, 소심함 | 『겁쟁이 토끼』, 『무서운 게 뭐야?』 |
놀람 | 당황, 깜짝, 충격, 혼란 | 『앗! 깜짝이야』, 『놀랐을 때 어떻게 해요?』 |
혐오 | 싫음, 거부감, 혐오, 꺼림칙함 | 『싫어 싫어 귀신』, 『이건 너무 싫어!』 |
5. 감정 단어와 사회성의 관계
감정 단어가 풍부한 아이는 친구와의 놀이에서 자신의 욕구를 말로 표현하며, 감정 충돌을 회피하지 않고 대화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이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으로도 확장됩니다. 사회성의 기초는 결국 ‘감정의 언어화’에 있습니다.
6.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핵심 메시지
- 감정 단어 확장은 정서 지능, 공감력, 사회성까지 키우는 핵심 활동입니다.
- 아이의 나이에 맞는 활동을 활용하고, 감정을 구체화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 주세요.
- 아이의 감정을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말고, 공감하며 새로운 단어를 소개해 주세요.
- 감정 어휘를 늘리는 연습은 아이에게 평생 유용한 정서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감정코칭] 아이가 친구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할 때, 부모가 해야 할 올바른 지도법
말 한마디에 담긴 감정과 배려를 가르치는 첫걸음아이들은 아직 타인의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말이 상대방에게 상처가 될 수 있는지, 혹은 농담처럼 한 말이 친구에게는 아
velyjju.net
[감정코칭]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위한 미술·음악·놀이 치료 활용법
목차1.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의 특징2. 미술·음악·놀이 치료의 효과3. 미술·음악·놀이 치료의 실제 활용법4.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위한 부모님의 역할5. 부모님께서 기억하시면 좋은 핵심
velyjju.net
[감정코칭]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1. 감정 조절 & 정서 발달 심화 - 2)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들은 종종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 감정을 억누르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표출합니다. 감정을 기록하는 것은 아이가
velyjju.net
'아동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코칭] 아이가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때 감정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0) | 2025.03.22 |
---|---|
[자기조절] 부모의 공감 방식에 따른 아이 정서 발달 차이 (사례 비교 분석) (0) | 2025.03.22 |
[감정코칭]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0) | 2025.03.22 |
[감정코칭] 아이가 감정을 숨길 때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 (내성적인 아이 지도법) (0) | 2025.03.21 |
[감정코칭]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법 (뇌과학 기반 감정 조절법)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