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리학

[감정코칭]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velyjju 2025. 3. 22. 08:05

1. 감정 조절 & 정서 발달 심화 - 2)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들은 종종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 감정을 억누르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표출합니다. 감정을 기록하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정 다이어리’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부모가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감정 다이어리의 개념과 효과, 연령별 활용법, 그리고 부모가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감정코칭]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감정 다이어리 활용법: 아이가 감정을 기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1. 감정 다이어리란? 왜 필요한가?


(1) 감정 다이어리란?

감정 다이어리는 하루 동안 느낀 감정을 기록하는 일기 형식의 도구입니다. 글, 그림, 색깔, 이모티콘 등을 활용하여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감정 다이어리의 효과

✔ 자기 이해력 향상: 감정을 기록하면서 자신이 왜 그런 감정을 느꼈는지 생각해보게 됨
✔ 감정 조절 능력 향상: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통해 충동적인 감정 폭발이 줄어듦
✔ 공감 능력 향상: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면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커짐
✔ 문제 해결 능력 강화: 감정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고력이 발달
✔ 부모-자녀 관계 강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부모와의 대화가 원활해짐

뇌과학적으로도 감정 표현은 편도체의 과도한 활성화를 줄이고, 전전두엽의 감정 조절 기능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감정 다이어리, 연령별 활용법


연령별로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감정 다이어리의 형식도 적절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1) 3~5세: 그림과 색깔을 활용한 감정 표현

이 시기의 아이들은 글보다는 그림이나 색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감정 색칠하기: 기쁨(노랑), 슬픔(파랑), 화남(빨강) 등 감정을 색으로 표현
✔ 얼굴 그리기: 하루 동안 느낀 감정을 다양한 표정의 얼굴로 그리기
✔ 감정 이모티콘 활용: 😀😢😡 같은 그림을 이용하여 오늘 기분 표시하기

💡 부모의 역할:

"오늘 어떤 색깔 기분이었어?"라고 물어보며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그림을 보고 아이에게 “이 표정은 어떤 기분일까?” 질문하며 감정 어휘 확장

(2) 6~8세: 간단한 문장과 사건 연결하기

이 시기에는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 능력이 발달하기 때문에 간단한 문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감정 단어 + 이유 기록하기

“오늘 나는 😃(기쁨) 기분이었어요. 친구랑 놀이터에서 신나게 놀았어요.”
“오늘 나는 😢(슬픔) 기분이었어요. 엄마가 내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사주지 않아서 속상했어요.”

✔ 감정 변화 기록하기

"아침에는 기뻤는데, 점심에는 화가 났고, 저녁에는 다시 기분이 좋아졌어요."
감정의 변화 과정을 통해 감정이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배움

💡 부모의 역할:

"그때 어떤 일이 있었어?"라고 물으며 감정의 원인을 탐색하도록 유도
감정을 평가하지 않고 "그랬구나, 속상했겠네"처럼 공감 표현하기

(3) 9세 이상: 깊이 있는 감정 분석 및 해결책 탐색

이 시기에는 감정을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 감정 분석하기
“이 감정을 100점 만점으로 하면 몇 점일까?”
“같은 상황이 다시 오면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 감정 대안 찾기
"화가 났을 때 물건을 던지는 대신, 어떤 방법이 있을까?"
"속상했을 때 어떻게 하면 기분이 나아질 수 있을까?"

💡 부모의 역할: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해 주기
“이 감정이 사라질 때까지 얼마나 걸렸어?”라고 물으며 감정이 영원하지 않다는 점 깨닫도록 돕기

3. 감정 다이어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부모 가이드

(1) 감정 평가 대신 공감하기
아이들이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감정을 평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정도 일로 속상해?”
✅ “그랬구나, 많이 속상했겠다.”

(2) 감정 다이어리 작성 시간을 정하기
일정한 시간(예: 자기 전 10분)을 정해 다이어리를 쓰도록 습관을 들이면 꾸준히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부모도 감정 다이어리를 함께 작성하기
부모가 직접 자신의 감정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웁니다.
"엄마도 오늘 조금 힘들었어. 그런데 이렇게 적으니까 마음이 편해지네!"

(4) 감정이 부정적이어도 허용하기
아이들은 부정적인 감정도 느낄 권리가 있습니다.
❌ “항상 기쁜 일만 적어야 해.”
✅ “화난 것도 적어도 돼. 모든 감정은 소중해.”

(5) 감정 다이어리와 놀이 결합하기
감정 그림책과 함께 읽으며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기
역할극을 하며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하기

4. 감정 다이어리가 주는 변화: 실제 사례


사례 1: 감정 표현이 서툴렀던 6세 민호
처음에는 "몰라"라고 감정을 말하지 않았지만, 감정 다이어리를 통해 "오늘 속상했어"라고 표현하기 시작.
감정 단어를 익히며 "화났어"에서 "짜증났어", "섭섭했어"처럼 세분화된 감정을 표현함.

사례 2: 짜증이 많았던 9세 지우
감정 다이어리를 쓰면서 "짜증이 날 때마다 글로 적으면 속이 풀려요!"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심호흡, 산책하기 등)을 스스로 찾게 됨.

5.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핵심 메시지


감정 다이어리는 아이의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령별로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여 아이가 자연스럽게 감정을 기록하도록 돕는다.
부모는 감정을 평가하기보다는 공감하며 감정 다이어리를 함께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감정 표현은 연습할수록 자연스러워지며, 이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