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마디에 담긴 감정과 배려를 가르치는 첫걸음
아이들은 아직 타인의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말이 상대방에게 상처가 될 수 있는지, 혹은 농담처럼 한 말이 친구에게는 아플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죠.
“너랑 안 놀아!”, “넌 못생겼어.”, “그건 내 거야. 너는 안 돼.”
이런 말을 듣고 상처받은 친구가 울거나 화를 낼 때, 부모는 당황하고 걱정이 앞서게 됩니다. “혹시 우리 아이가 나쁜 아이가 되는 건 아닐까?” 하지만 걱정보다 중요한 것은 그 순간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방향으로 아이를 이끌어주는가입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가 친구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할 때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지도법을 따뜻하고 효과적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목차
- 1. 아이는 왜 친구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할까?
- 2.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올바른 지도법
- 3. 실제 상황 예시로 이해해보기
- 4. 부모가 꼭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 5. 말은 감정을 전달하는 다리입니다
-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아이는 왜 친구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할까?
1. 감정 표현 방식이 서툴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아직 부족합니다. 짜증, 실망, 질투, 서운함 등의 감정이 쌓였을 때, 이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고 무심코 상처 주는 말로 표출할 수 있습니다.
예: “같이 놀고 싶었는데 친구가 다른 애랑 놀아서 화가 났어요.”
2.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힘이 부족합니다.
공감 능력은 아직 발달 중입니다. 자신의 말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감정으로 전달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악의 없이 상처 주는 말을 할 수 있습니다.
3. 상호작용 기술이 미숙할 수 있습니다.
친구와 어울리는 방법, 친해지는 말투, 갈등 해결 대화를 아직 충분히 배우지 못한 아이는 자기 주장을 강하게 하거나 거친 표현을 통해 관계를 조정하려고 시도합니다.
2.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올바른 지도법
1. 즉각 혼내기보다, 먼저 감정을 물어보세요.
훈육보다 공감이 먼저입니다. 아이가 상처 주는 말을 했다고 바로 혼내면, 아이는 감정을 숨기게 되고 방어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예시: “그 말은 친구가 속상했을 수도 있을 것 같아. 너는 무슨 마음이었어?”
2. 친구의 마음을 함께 상상해보게 하세요.
예시: “만약 네가 그런 말을 들었다면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 → 공감 능력을 키우고, 행동을 스스로 돌아볼 수 있게 합니다.
3. 올바른 표현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 “넌 못생겼어” → “나는 그 그림보다 이게 더 좋아 보여.”
- “너랑 안 놀아” → “지금은 혼자 있고 싶어. 나중에 같이 놀자.”
역할 놀이를 통해 감정 전달법을 연습하면 효과적입니다.
4. 감정 표현의 긍정적 모델을 제공해 주세요.
“화났구나, 그럴 수 있어. 그런데 우리가 말로 기분을 말하면 더 좋은 친구가 될 수 있어.”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세요.
3. 실제 상황 예시로 이해해보기
상황 1: 친구에게 “넌 못생겼어”라고 말했을 때
부모: “그 말을 들은 친구는 기분이 어땠을까?”
아이: “속상했을 것 같아.”
부모: “그 말 대신 다른 말로 표현할 수 있었을까?”
아이: “그림이 조금 이상하다고 말할 걸 그랬나?”
상황 2: 친구에게 “너랑 안 놀아!”라고 말했을 때
부모: “왜 그런 말을 하게 됐는지 이야기해 줄래?”
아이: “그 친구가 내 장난감을 안 빌려줬어.”
부모: “아쉬웠겠구나. ‘나는 같이 놀고 싶었어’라고 말하는 건 어때?”
4. 부모가 꼭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 아이의 말은 감정 표현일 뿐, 아이 자체가 나쁜 건 아닙니다.
- 공감과 대화가 훈육보다 우선되어야 합니다.
- 공감 능력은 가르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입니다.
- 표현력은 반복 학습과 역할 놀이로 향상됩니다.
- 아이는 천천히 변화합니다. 기다려 주세요.
5. 말은 감정을 전달하는 다리입니다
아이의 말에는 그날의 기분, 관계의 맥락, 표현 방법의 미숙함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그 말이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 있지만, 그 안에는 아이의 감정이 숨어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가 그 감정을 알아차리고, 더 따뜻하게 표현하도록 돕는 길잡이가 되어야 합니다.
예시: “이런 말은 상대가 속상할 수도 있어. 그런데 네가 그걸 알아차리고 바꾸려고 노력한다면, 넌 분명 좋은 친구가 될 수 있어.”
이런 한마디가 아이의 마음에 ‘배려’라는 씨앗을 심게 됩니다.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감정코칭] 아이의 감정을 잘 표현하게 만드는 ‘감정 단어 확장법’
1. 감정 조절 & 정서 발달 심화 - 3)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게 만드는 감정 단어 확장법 아이가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감정 어휘’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velyjju.net
[감정코칭] 아이가 친구와 어울리지 못할 때, 부모가 해야 할 일
외향형 아이와 내향형 아이의 차이 이해하기모든 아이가 친구를 쉽게 사귀는 것은 아닙니다.어떤 아이는 낯선 환경에서도 금방 친구를 만들지만, 어떤 아이는 조용히 혼자 있는 것을 더 편하게
velyjju.net
[감정코칭]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위한 미술·음악·놀이 치료 활용법
아이들은 다양한 감정을 느끼지만, 이를 말로 표현하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은 종종 불안, 분노, 슬픔 등을 내면에 쌓아두거나, 행
velyjju.net
'아동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관계] 친구와 다툰 후 화해하는 방법을 배우는 법 (0) | 2025.03.27 |
---|---|
[훈육] 아이에게 훈육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0) | 2025.03.27 |
[친구관계] 친구를 자주 바꾸는 아이 vs 한 친구만 고집하는 아이 (0) | 2025.03.27 |
[친구관계] 아이가 친구와 어울리지 못할 때, 부모가 해야 할 일 (0) | 2025.03.27 |
[자존감] 부모의 기대가 아이에게 주는 심리적 부담과 해결 방법 (연구 자료 기반)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