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심리학

[훈육] 아이에게 훈육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velyjju 2025. 3. 27. 14:05

 

[훈육] 아이에게 훈육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훈육] 아이에게 훈육할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목차

  1. 훈육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2. 훈육 시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3. 바람직한 훈육법의 예시
  4. 실제 사례: 정우 엄마의 훈육 이야기
  5. 훈육은 아이의 마음을 지키는 일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훈육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아이를 키우다 보면 수없이 훈육이라는 과제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의도의 훈육이라도, 그 방식이 잘못되면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남길 수 있습니다.

훈육의 목적은 아이의 행동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입니다.

2. 훈육 시 절대 해서는 안 되는 5가지 행동

① 큰 소리로 다그치는 것

“왜 그렇게 했어!”, “또 그러면 혼날 줄 알아!” 화가 난 부모가 큰 소리로 다그치면, 아이는 상황의 의미보다 감정만 기억하게 됩니다.

부작용: 두려움으로 인한 억압, 감정조절 미숙, 위축된 자존감

② 인신공격성 언어 사용

“정말 한심하다.”, “누가 너 같은 애랑 놀겠어?” 아이의 존재 자체를 비난하는 말은 정서적 상처를 남깁니다.

부작용: 낮은 자존감, 과도한 눈치보기, 애착 문제

③ 비교하며 비난하기

“다른 애들은 잘하는데, 너만 왜 그래?” 형제나 친구와 비교하는 말은 아이의 자존감을 갉아먹습니다.

부작용: 열등감, 경쟁심, 부모에 대한 거리감

④ 훈육 기준이 일관되지 않음

어제는 괜찮았던 행동이 오늘은 혼나는 경우, 아이는 혼란스러워합니다.

부작용: 규칙 불신, 불안, 부모와의 신뢰 약화

⑤ 감정적 단절을 벌처럼 사용

“말도 섞기 싫다.”, “너랑 이야기 안 해.” 감정을 단절하는 방식은 아이에게 정서적 고립감을 줍니다.

부작용: 애착 불안, 정서 억압, 관계 회피

3. 바람직한 훈육법의 예시

  • 감정 공감 후 기준 제시: “속상했겠구나. 하지만 친구를 밀면 안 돼.”
  • 행동 구체화: “이런 말은 상대방 마음을 아프게 해.”
  • 일관된 기준 유지: “우리 약속 기억나? 이번에도 똑같이 지켜보자.”
  • 긍정적 행동 강화: “네가 먼저 말로 이야기한 건 정말 잘했어.”
  • 문제 해결 참여 유도: “다음엔 어떻게 하면 좋을까?”

4. 실제 사례: 정우 엄마의 훈육 이야기

정우(6세)는 자주 동생의 장난감을 빼앗았습니다. 처음엔 “왜 자꾸 그러니!”라고 혼을 냈지만 정우는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했습니다.

엄마는 방식을 바꿔 “혹시 갖고 싶었니?”라고 감정을 물었고, 정우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 뒤 “그럴 땐 말로 해볼까?”라는 엄마의 안내에 따라, 정우는 조금씩 말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작은 변화는 큰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5. 훈육은 아이의 마음을 지키는 일

훈육이 아이를 길들이는 수단이 아니라, 마음을 이해하고 연결하는 기술이 될 때, 아이는 훨씬 안정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 행동은 문제지만, 너는 소중한 존재야.” 이 메시지가 아이의 마음에 남을 수 있도록 훈육의 언어를 바꿔보세요.

6.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훈육] 아이가 잘못했을 때 훈육하는 ‘논리적 결과법’ 활용하기

서론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어떻게 훈육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소리를 지르자니 아이가 위축될까 걱정되고, 무시하자니 반복되지 않을까 불안해지죠. 이럴 때 효과적인 훈육 방식 중 하나가

velyjju.tistory.com

 

 

[훈육] 체벌 없이 아이의 문제 행동을 수정하는 법

목차1. 긍정적 훈육, 말로만 듣던 그 효과적인 방법2. 긍정적 훈육이란 무엇인가요?3. 체벌이 아이에게 주는 부작용4. 긍정적 훈육의 5가지 핵심 원칙5. 실제 사례로 보는 긍정적 훈육 적용6. 자주

velyjju.net

 

 

[훈육] 부모가 아이의 공부를 도울 때 하면 안 되는 3가지 행동

목차1. 도와준다는 마음이 오히려 아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어요2. 아이 대신 문제를 풀어주는 행동3. 비교하는 말로 동기를 유도하는 행동4. 감정적 반응으로 아이를 다그치는 행동5. 현실 육아

velyjju.net